북한이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남반구 개발도상국들을 공략하고 있지만 유엔안보리 제재 등으로 인해 성과를 거두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김상기 통일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 연구위원은 25일 '최근 북한의 글로벌 사우스 외교 현황 및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전망을 제기했다.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는 남반구 및 북반구의 저위도에 위치한 개발도상국들을 가리킨다. 김정은 정권은 2023년 8월 코로나19로 인한 국경봉쇄를 해제한 이후 대면 외교 활동의 큰 비중을 글로벌 사우스 공략에 할애했다. 양자 외교의 사례를 보면 2023년 9월부터 최근까지 북한과 러시아 사이에는 40여 차례 정부 대표단 방문 교류 등 대면 외교·교류가 진행됐고 중국과는 총 8차례였는데, 글로벌 사우스와는 총 12회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 10월 베트남 외무성 대표단의 평양 방문 및 차관급 회담 등 베트남과의 외교·교류 빈도가 가장 높았다.
2023년 9월~2024년 11월 북한의 양자 외교·교류 횟수. /조선중앙통신, 통일연구원
보고서는 최선희 외무상이 러시아와 협력 강화에 주력하는 동안 차관급(부상급)에서 글로벌 사우스 외교를 맡았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북한이 글로벌 사우스 외교를 확대하는 배경으로는 외교적 고립 탈피, 반미연대 도모 및 다극적 국제질서 지향, 경제적 협력과 발전 추구 등이 꼽혔다. 북한의 글로벌 사우스 다자외교 과정에서는 러시아의 지원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 1년여 간 북한의 글로벌 사우스 다자 외교·교류 17회 중 6회가 러시아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특히 10개 회원국의 브릭스 회의에 회원국이 아닌 북한이 참여한 데는 러시아의 주선 혹은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 6월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 제7조에서 “일방이 해당한 국제 및 지역 기구들에 가입하는 것을 협조하며 지지한다”고 명시한 바 있다.
다만 보고서는 북한의 글로벌 사우스 외교에 제약 요건이 적잖을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가 적극 지원한다 해도 빈약한 경제, 유엔안보리 제재 등 난관이 많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이 제재 위반의 부담을 감수하고 북한과 경제협력을 추진할 유인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